이열매의 메모장
네트워크 기본 지식 본문
IP
- 네트워킹이 가능한 장비를 각각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
- 127.0.0.1(또는 도메인 네임: localhost)은 자기자신을 호출하는 IP 주소이다
PORT
- 네트워크 활동 시 사용하는 관문 역할
- 포트를 막거나 열어둠으로써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활동을 허가 및 차단
- 자주 사용되는 PORT (well-known 포트)
- 1~1023개의 포트는 well-known 포트로 특정 프로토콜이 이용하도록 지정
- 반드시 지켜야 함은 아니지만 권장 규약과 같다
- well-known 포트 중 가장 대표적인 포트는 다음과 같다
포트 번호 |
프로토콜 이름 |
설명 |
20,21 |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 |
22 |
SSH |
보안 원격 접속 프로토콜 |
23 |
텔넷 |
원격 접속 프로토콜 |
25 |
SMTP |
인터넷 메일 프로토콜 |
37 |
TIME |
시간 동기화 프로토콜 |
53 |
도메인 |
도메인 이름 서비스 프로토콜 |
80 |
HTTP |
하이퍼 문서 전송 프로토콜 |
110 |
POP3 |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 |
도메인
: 서버나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IP주소를 외우기는 힘들다. 이를 위해 각 IP주소에 이름을 부여한 것을 도메인이라고 한다.
- DNS
- Domain Name Service의 약자
- DNS 서버
- root DNS 서버 호출되어 담당 DNS에서 IP주소를 반환할 때까지 응답 요청 반복
- 입력받은 도메인에 해당하는 IP주소를 반환
호스트(host)
: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를 의미
- 호스트 파일
- 각 호스트마다 도메인을 관리하기 위해 로컬에 저장해놓은 파일
- DNS 서버에 접근하여 해당 도메인의 IP주소를 확인하기 전에 먼저 확인하는 파일
- 모든 운영체제에 존재
- 파일 경로
- /etc/hosts/
- 사용 예시
- 같은 도메인 네임으로 DNS에 지정된 서버가 아닌 다른 서버로 접근하고 싶을 경우
- 개발 서버의 확장을 위한 테스트
- 사용자 웹페이지 계정 해킹
- 해커가 다른 사용자의 호스트파일에 접근
- google.com의 도메인을 통해 자신의 서버 IP주소를 얻도록 수정
- 해당 IP주소로 접속 시 구글 홈페이지와 동일하게 웹페이지 꾸밈
- 사용자로부터 자신의 서버에 입력받은 계정을 이용
URL과 URI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 특정 시점에 어떠한 리소스가 위치한 곳, 주소를 의미
- 만약 리소스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 해당 URL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
URI
-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URL보다 더 넓은 개념
- URL과 URN 모두를 의미
- URN
- 위치에 영향 받지 않고, 리소스 자체를 가리킴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검색 명령어 (0) | 2019.10.09 |
---|---|
리눅스 네트워크 명령어 (0) | 2019.10.09 |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0) | 2019.10.08 |
파일시스템 (0) | 2019.10.08 |
패키지 (0) | 2019.10.0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