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열매의 메모장
포트포워딩 본문
개요
컴퓨터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윈도우나 맥 운영체제와 병행하여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원격 접속으로 리눅스 환경을 사용한다. 이 때, SSH*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개인 PC가 VM의 22번 포트로 매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설정이 바로 포트 포워딩이다.
설정
VirtualBox 해당 머신 설정탭 > 네트워크 > 고급 > 포트 포워딩에 들어가 규칙을 추가한다. 이때, 호스트 IP에는 개인 PC IP 주소*를 입력하고, 게스트 IP에는 VM상의 CentOS에서 사용하는 IP 주소*를 입력한다. 호스트 포트는 well-known 포트가 아닌 번호를 입력한다. 게스트 포트에는 SSH에서 사용하는 22번 포트 번호를 입력한다.
설정을 완료한 후, 윈도우 OS를 사용할 경우 OpenSSH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맥OS를 사용하는 경우 바로 터미널에서 접근 가능하다.
참고
SSH (Secure Shell)
: 원격 접속 서비스인 telnet은 보안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한 텔넷 응용 프로그램. 다른 사용자가 세션을 엿듣지 못하도록 세션을 감싸준다. 즉, 암호화된 통신을 지원한다. 기본적으로 22번 포트를 사용한다.
개인 PC IP 주소
: 터미널에서 윈도우의 경우 ipconfig, 맥의 경우 ifconfig | grep inet
VM 운영체제 IP 주소
: CentOS 기준 터미널에서 ip addr 입력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do 비밀번호 없이 사용 설정 (0) | 2019.10.08 |
---|---|
리눅스 환경변수 (0) | 2019.10.08 |
리눅스란 (0) | 2019.10.08 |
맥북 CentOS 원격 접속 (0) | 2019.10.08 |
VM에서 CentOS 텍스트 모드 설치 (0) | 2019.10.0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