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열매의 메모장
리눅스 파일 디렉토리 구조 본문
파일 시스템 구조
파일 시스템은 디스크 내 파일을 관리하는 구조이다. 리눅스는 트리(계층) 구조로 파일을 관리한다. 디렉토리 구조는 다음과 같다.
bin
-
모든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기본적인 명령어 저장
-
ex) mv, cp, r
sbin
-
시스템 관리자용 명령어 저장
-
ex) ifconfig, ethtool, halt
usr
-
일반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디렉토리
-
하위 디렉토리
-
bin
-
lib
-
include
-
C 프로그램에 필요한 헤더 파일 저장
-
-
src
-
프로그램 소스(커널 소스) 저장
-
-
local
-
어플리케이션 컴파일 설치 시 주로 사용
-
-
root
-
시스템 최고 관리자인 root 사용자의 개인 홈 디렉토리
home
-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lib
-
커널 모듈 파일과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파일 존재
etc
-
설정에 관련된 대부분의 파일 존재
-
패키지 설치 진행 시 관련 환경 설정
-
시스템 서비스(mail, ssh, useradd, cron 등) 설정 파일 저장
var
-
시스템 운영 중 생성되었다가 삭제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
-
시스템 로그 / DNS의 zone 설정 / 메일 / cron 파일 저장
tmp
-
공용 디렉토리
-
소켓/세션 파일 등 존재
boot
-
GRUB과 같은 리눅스 부트로더 파일
dev
-
하드디스크와 같은 시스템 디바이스 파일
mnt
-
탈부착 가능한 서브 장치들에 대해 일시적인 마운트포인트로 사용
proc
-
가상 파일 시스템
-
메모리에 올려진 프로세스들이 파일 형태로 존재
참고 링크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6에 python 2.7 설치하기 (0) | 2020.03.31 |
---|---|
리눅스 사용자 계정 (0) | 2019.10.21 |
쉘 스크립트 예제 (0) | 2019.10.15 |
파일 검색 명령어 (0) | 2019.10.09 |
리눅스 네트워크 명령어 (0) | 2019.10.0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