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Linux (20)
이열매의 메모장
파일 시스템 : 저장 장치마다 개별적으로 파일 시스템이 존재하는 윈도우와 달리 리눅스는 계층적인 Tree 구조의 단일 파일 시스템 사용 특징 대소문자를 구별. 일반적으로 명령어는 소문자, 변수를 대문자로 표현 파일 확장자의 개념이 x -> 윈도우와 달리 확장자로 파일의 종류를 결정하지 않는다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 사용 절대 경로: 최상위 루트 디렉토리로부터 경유한 경로를 전부 기입한 경로 상대 경로: 현재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작성된 경로 홈 디렉토리 사용자 계정마다 갖는 공간. ~마크로 표시. 절대 경로는 /home/사용자계정 파일 시스템 명령어 pwd 현재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 경로 표시 ls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내용(파일 및 디렉토리) 표시 [-a] 숨겨진(파일명 앞에 .을 붙인 경우) 파일과 ..
컴파일 설치와 패키지 설치의 차이 1. 패키지 저장소 rpm 구버전 패키지 설치 설치 시도하는 프로그램 저장소의 위치를 반환 해당 프로그램만 설치 yum 신버전 패키지 설치 설치하려는 프로그램과 더불어 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까지 설치 2. 컴파일 설치 패키지 설치와 다르게 과정별 설치 필요 세부 설정 조정을 위해 사용 패키지 설치와 다르게 설치 경로 설정 등 커스텀 가능 로그 트랙킹에 용이 과정: 압축파일 다운 -> 환경설정 설정 -> 컴파일(make) -> 설치 (install) 3. 언제 어떤 설치를 해야할까? 해당 프로그램의 버전이 배포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경우 -> 패키지 설치 영향을 미칠 경우 -> 컴파일 설치 패키지 관리 1. 패키지 - 소프트웨어 구성 압축 파일 - ..
정규 표현식 정규식이란 : 특정한 형식의 문자열을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형식 언어 정규식 응용 실습 : 아래와 같은 예제파일을 이용하여 다음 문제를 풀어보자 예제파일 : /var/log/anaconda/packaging.log 1. INFO와 ERR만 출력해보세요. ...더보기 grep -Ew "(INFO|ERR)" /var/log/anaconda/packaging.log 2. 시간이 10:11:20 ~ 10:11:33인 것만 출력해보세요. ...더보기 grep "^10:11:[20-33]" /var/log/anaconda/packaging.log 3. 대문자가 없는 라인만 출력해보세요. ...더보기 grep -v '[A-Z]' /var/log/anaconda/packaging.log 4. 공백이 한 줄에..

OSI 7계층이란 국제 표준화 기구(ISO)가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 계층을 나누어 해당 단계 트러블 슈팅에 용이 OSI 7계층 1계층 – 물리 계층 기계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사항 정의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디지털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통신 단위: 시그널 ex) 통신 케이블, 리피터, 허브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주소 지정과 오류 확인 수행 네트워크 카드 내에 지정된 MAC 주소를 이용하여 물리 계층에서 받은 정보를 전달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에러 검출 및 재전송, 흐름 제어 통신 단위: 프레임 ex) L2 스위치, 브리지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가 노드에서 노드를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갈 수 있는..

퍼미션 :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리눅스의 특성 상 각각의 사용자마다 접근 권한을 제한하여 파일과 디렉토리를 보호한다. 파일 타입 -: 파일 d: 디렉토리 l: 링크 c: 문자 특수 파일(모뎀, 바이트 디바이스) b: 블록 단위 처리 데이터 디바이스 사용자의 분류 소유자(owner) 해당 파일의 작성자 그룹 멤버(group) 기타 사용자에서 특정 인물만 추려서 권한을 부여하고 싶을 시에 이용 기타 사용자(others) 소유자가 아닌 그 외 모든 계정 명령어 chown 디렉토리와 파일의 소유자 및 그룹 소유자를 변경 chgrp 해당 디렉토리와 파일의 그룹 소유자를 변경 chown으로 통합되었음 chmod : 퍼미션을 변경할 시에 사용 8비트 설정 0 (사용 안함), 1 (사용함)로 rwx 순으로 계산 문자..
리다이렉션 (I/O Redirection) : 리눅스의 기본 표준 출력으로 설정은 화면 출력이다. 이 방향을 다른 곳으로 바꾸기 때문에 리다이렉션이라 부른다. 즉, 모니터로 보여지는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표준 입출력과 표준 오류 파일 디스크립터 표준 입력 키보드로부터 입력 0으로 표기 표준 출력 모니터에 출력 1로 표기 표준 에러 에러를 모니터에 출력 2로 표기 리다이렉션 기호 [명령어] > [저장할 파일명] 표준 출력 기호. 파일 새로 생성 혹은 덮어 쓰기 [명령어] >> [저장할 파일명] 표준 출력 기호. 기존 파일이 있을 경우 끝에 이어 쓰기 [명령어] [저장할 파일명] 표준 오류 기호. 해당 파일로..
1. 계정 생성 useradd 사용자명 / passwd 사용자명 2. sudo 그룹 추가 sudo chmod -a -G sudo 사용자명 CentOS의 경우에 그룹 이름은 sudo가 아니라 wheel이다. 3. /etc/sudoers 파일 편집 사용자명 ALL=NOPASSWD: ALL root 계정으로 접속하여 sudoers 에 대한 쓰기 권한 허용 후, 파일의 맨 끝에 문장 추가 리다이렉션으로 sudoers 파일 하단에 문장 추가
1. set과 printenv 차이점 set은 로컬 환경 변수를 조회하고 printenv는 글로벌 환경 변수를 조회한다. 이 때, 전역 변수와 지역 변수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전역 변수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는 변수 해당 쉘의 자식 프로세스에서도 환경변수 사용 가능 export (환경변수명)=(설정값) 과 같이 선언 지역변수 선언된 영역 내에서만 접근 가능한 변수 해당 쉘의 자식 프로세스에서는 지역변수 사용 불가 (지역변수명)=(설정값) 과 같이 선언 2. 시작 파일에 대한 정리 /etc/profile profile은 로그인을 위한 환경설정을 저장한다. 이 때, etc폴더 내에 있는 profile 은 모든 계정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bash_profile 사용자 홈 디렉토리 내에 있는 prof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