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51)
이열매의 메모장
버전 관리란? : 파일 변화를 기록하고 특정 시점의 버전을 언제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특징 특정 시점의 버전을 복구하여 오류 복구 가능 시간에 따른 수정 내용 비교에 따른 이슈 추적 가능 로컬 버전 관리 : 간단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서 개인 컴퓨터에서 파일의 변화를 관리 : 대표적으로 RCS가 있다. 장점 디렉토리로 파일을 복사하는 방식이므로 간단하다 단점 안정성이 낮음 작업하던 디렉토리를 실수로 지울 경우 작업하던 파일을 잘못 고칠 경우 로컬 컴퓨터가 고장날 경우 중앙집중식 버전 관리 : 중앙 서버에서 파일의 변화를 관리 : 대표적으로 Subversion(SVN) 이 있다. 장점 다수와 공동 작업 가능 로컬 버전 관리에 비해 관리자가 통합하여 관리하므로 관리가 수월 단점 중앙 서버의 오류에 ..
l ping : 외부 호스트 서버가 네트워크 상으로 접근 가능한지 확인 ping –c [요청수] –I [초단위 전송간격] [도메인명 혹은 IP주소] l traceroute : 패킷이 해당 호스트까지 가는 과정을 출력 : 가는 길에 장애를 검출하기 위해 주로 사용 l netstat : 네트워크 연결 상태, 라우팅 테이블, 인터페이스 상태 등 정보 출력 l ftp : ftp 서버에 접속할 시에 사용 : 서버에 접속하면 ftp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파일 이동 등이 가능 l lftp : ftp보다 확장된 고성능 ftp client 명령어 l wget : 인터넷에서 단일 파일을 받아 현재 디렉토리에 저장 l ssh : 원격으로 ssh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명령어 : SSH(Secure Shell) - 보안 통신..
IP 네트워킹이 가능한 장비를 각각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 127.0.0.1(또는 도메인 네임: localhost)은 자기자신을 호출하는 IP 주소이다 PORT 네트워크 활동 시 사용하는 관문 역할 포트를 막거나 열어둠으로써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활동을 허가 및 차단 자주 사용되는 PORT (well-known 포트) 1~1023개의 포트는 well-known 포트로 특정 프로토콜이 이용하도록 지정 반드시 지켜야 함은 아니지만 권장 규약과 같다 well-known 포트 중 가장 대표적인 포트는 다음과 같다 포트 번호 프로토콜 이름 설명 20,21 FTP 파일 전송 프로토콜 22 SSH 보안 원격 접속 프로토콜 23 텔넷 원격 접속 프로토콜 25 SMTP 인터넷 메일 프로토콜 37 TIME 시간 동기화..
명령어 [명령어] [-단축옵션] [--long 옵션] : 크게 시스템 관리 명령어와 일반 명령어(외부 명령어)로 나뉜다. 시스템 관리 명령어는 /sbin 혹은 /usr/sbin 폴더에 존재한다. 일반 명령어는 /bin 혹은 /usr/bin 폴더에 존재한다. 시스템 살펴보기 file [파일명] 확장자가 파일의 종류를 결정하지 않는 리눅스에서 파일의 종류 확인 less more의 확장판. 자유로운 이동 가능. 다 읽고 나가기 위해서 q 사용 more 긴 파일을 읽을 때 사용하며 less와 달리 파일을 다 읽을 경우 자동으로 종료 파일과 디렉토리 조작 cp [파일] [복사하고 싶은 경로 및 파일명] 해당 경로에 파일 복사 mv [파일] [이동하고 싶은 경로 및 파일명] 해당 경로에 파일 이동 mkdir 현재 ..
파일 시스템 : 저장 장치마다 개별적으로 파일 시스템이 존재하는 윈도우와 달리 리눅스는 계층적인 Tree 구조의 단일 파일 시스템 사용 특징 대소문자를 구별. 일반적으로 명령어는 소문자, 변수를 대문자로 표현 파일 확장자의 개념이 x -> 윈도우와 달리 확장자로 파일의 종류를 결정하지 않는다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 사용 절대 경로: 최상위 루트 디렉토리로부터 경유한 경로를 전부 기입한 경로 상대 경로: 현재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작성된 경로 홈 디렉토리 사용자 계정마다 갖는 공간. ~마크로 표시. 절대 경로는 /home/사용자계정 파일 시스템 명령어 pwd 현재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 경로 표시 ls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내용(파일 및 디렉토리) 표시 [-a] 숨겨진(파일명 앞에 .을 붙인 경우) 파일과 ..
컴파일 설치와 패키지 설치의 차이 1. 패키지 저장소 rpm 구버전 패키지 설치 설치 시도하는 프로그램 저장소의 위치를 반환 해당 프로그램만 설치 yum 신버전 패키지 설치 설치하려는 프로그램과 더불어 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까지 설치 2. 컴파일 설치 패키지 설치와 다르게 과정별 설치 필요 세부 설정 조정을 위해 사용 패키지 설치와 다르게 설치 경로 설정 등 커스텀 가능 로그 트랙킹에 용이 과정: 압축파일 다운 -> 환경설정 설정 -> 컴파일(make) -> 설치 (install) 3. 언제 어떤 설치를 해야할까? 해당 프로그램의 버전이 배포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경우 -> 패키지 설치 영향을 미칠 경우 -> 컴파일 설치 패키지 관리 1. 패키지 - 소프트웨어 구성 압축 파일 - ..
정규 표현식 정규식이란 : 특정한 형식의 문자열을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형식 언어 정규식 응용 실습 : 아래와 같은 예제파일을 이용하여 다음 문제를 풀어보자 예제파일 : /var/log/anaconda/packaging.log 1. INFO와 ERR만 출력해보세요. ...더보기 grep -Ew "(INFO|ERR)" /var/log/anaconda/packaging.log 2. 시간이 10:11:20 ~ 10:11:33인 것만 출력해보세요. ...더보기 grep "^10:11:[20-33]" /var/log/anaconda/packaging.log 3. 대문자가 없는 라인만 출력해보세요. ...더보기 grep -v '[A-Z]' /var/log/anaconda/packaging.log 4. 공백이 한 줄에..
OSI 7계층이란 국제 표준화 기구(ISO)가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 계층을 나누어 해당 단계 트러블 슈팅에 용이 OSI 7계층 1계층 – 물리 계층 기계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사항 정의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디지털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통신 단위: 시그널 ex) 통신 케이블, 리피터, 허브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주소 지정과 오류 확인 수행 네트워크 카드 내에 지정된 MAC 주소를 이용하여 물리 계층에서 받은 정보를 전달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에러 검출 및 재전송, 흐름 제어 통신 단위: 프레임 ex) L2 스위치, 브리지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가 노드에서 노드를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갈 수 있는..